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광균의 <은수저> - 아버지의 깊은 슬픔을 담은 서사적 시

by soulbooks 2024. 9. 17.

 

서론

김광균의 시 <은수저>는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깊은 슬픔과 절망을 절제된 언어와 상징을 통해 표현한 작품이다. 시인은 은수저라는 상징적 소재를 사용하여 아기의 죽음을 형상화하고, 화자가 아기의 부재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사적으로 전개한다. <은수저>는 서정적이면서도 서사적인 요소가 결합된 시로, 시적 화자의 내면적 갈등과 현실을 교차시키며 독자에게 깊은 감정적 울림을 준다. 이 글에서는 <은수저>에서 사용된 다양한 문학적 기법을 중심으로 작품의 문학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시가 전달하는 깊은 슬픔과 부정의 표현 방식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1.  상징적 소재 '은수저'와 시각적 이미지의 역할

<은수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문학적 요소는 '은수저'라는 상징적 소재의 사용이다. 은수저는 전통적으로 장수와 건강을 기원하며 아이의 돌잔치에서 주로 선물로 주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삶의 출발과 축복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은수저가 주인 없는 물건으로 남겨져, 오히려 죽음을 암시하는 부재의 상징으로 작용한다. 시 속에서 은수저는 아이의 부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남겨진 자의 고통과 슬픔을 더욱 극명하게 드러낸다.

 

"애기 앉던 방석에 한 쌍의 은수저"라는 구절은 아이가 죽은 현실을 비극적으로 강조하며,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라는 표현은 상실의 아픔이 시각적으로 구체화되는 장면이다. 이처럼 은수저는 시각적 심상을 통해 화자가 느끼는 절망과 고독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시인은 은수저의 차가운 금속성을 통해 아이가 없는 집안의 싸늘함과 상실감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독자가 화자의 감정에 깊이 공감하도록 만든다.

 

은수저는 시적 장치로서 두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첫째, 은수저는 아이를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은수저는 아버지가 아이에게 주었던 소중한 물건으로, 그가 품었던 희망과 축복을 상징한다. 그러나 이제 그 은수저는 아이의 죽음을 상기시키는 무거운 존재로 남아 있다. 둘째, 은수저는 아이를 잃은 아버지의 절망과 슬픔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역할을 한다. 아이가 죽었음을 확인한 후, 화자는 은수저를 보며 눈물을 흘리는데, 이는 아버지가 느끼는 고통과 상실감을 직설적으로 드러낸다.

2.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보식 구성과 서사적 전개

<은수저>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보식 구성을 통해 화자의 감정 변화를 서사적으로 전개한다. 첫 번째 연에서는 화자가 저녁 식사 시간에 아이의 부재를 처음으로 인식하는 순간을 묘사한다. "산이 저문다. / 노을이 잠긴다"는 구절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며, 동시에 아이의 죽음을 암시하는 하강과 소멸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죽음과 부재의 분위기를 만들어내며, 화자가 아이의 죽음을 점진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두 번째 연에서는 밤이 되면서 화자는 아이의 환영을 경험하게 된다. "한 밤중에 바람이 분다. / 바람 속에서 애기가 웃는다"라는 구절은 현실과 환상을 교차시키는 시적 장치로, 화자의 내면적 갈등과 고통을 드러낸다. 바람은 덧없는 환영을 상징하며, 아이의 부재를 더욱 절감하게 만드는 동시에, 화자의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는 순간을 포착한다. 이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화자의 심리는 시 전체의 서사적 구조를 강화하고, 독자에게 슬픔의 깊이를 체감하게 만든다.

 

세 번째 연에서는 아이가 죽음의 세계로 떠나가는 장면이 묘사된다. "먼 들길을 애기가 간다. / 맨발 벗은 애기가 울면서 간다"라는 구절은 아이의 죽음이 확정적임을 암시하며, 화자가 더 이상 이승에서 아이를 만날 수 없음을 절감하게 만든다. 이러한 서사적 전개는 독자로 하여금 화자의 슬픔에 더욱 깊이 공감하게 하며, 시적 긴장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시간의 흐름과 장면의 변화는 시의 서사적 요소를 강화하고, 화자의 절망감이 점차 심화되는 과정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3.  감정의 절제와 반어적 표현의 미학

<은수저>는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비통함을 절제된 언어와 반어적 표현을 통해 드러낸다. 시 전체에서 화자의 슬픔을 나타내는 직접적인 표현은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와 "불러도 대답이 없다" 정도에 그친다. 그러나 이러한 절제된 표현은 오히려 독자에게 더 강렬한 울림을 준다. 김광균은 슬픔을 과장되게 표현하기보다는, 간결하고 직설적인 언어로 진솔한 감정을 전달하며, 독자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시의 전반에 걸친 절제된 어조는 화자가 느끼는 슬픔을 내면에 담아두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김광균은 지나치게 감정적이지 않고, 절제된 어조로 아픔을 표현함으로써 오히려 독자로 하여금 화자의 고통에 더 깊이 빠져들게 한다. 이는 정지용의 <유리창>과도 비교될 수 있는데, <유리창>이 슬픔을 유리라는 차가운 소재로 간접적으로 표현했다면, <은수저>는 은수저라는 구체적 사물을 통해 보다 직접적이고 사실적으로 슬픔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시에서 사용된 반어적 표현은 감정의 깊이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바람 속에서 애기가 웃는다"는 구절은 웃음이라는 긍정적 이미지와 바람이라는 덧없는 이미지를 결합하여 슬픔과 상실의 깊이를 드러낸다. 이는 환영 속의 아이가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장면을 통해 현실의 무상함과 화자의 절망감을 한층 더 강조하는 효과를 낳는다. 이러한 반어적 표현은 시의 절제된 어조와 결합되어 더욱 깊이 있는 감정적 울림을 제공한다.

4.  공간의 대립과 경계의 의미

<은수저>에서는 공간의 대립과 경계가 중요한 문학적 기법으로 사용된다. 시는 '방 속'과 '먼 들길'이라는 대립적인 공간을 통해 이승과 저승, 삶과 죽음의 대립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방 속'은 이승의 세계를, '먼 들길'은 저승의 세계를 의미하며, 이 둘은 '들창'이라는 경계에서 만난다. 들창은 삶과 죽음의 경계선으로서, 화자가 아이의 환영을 보는 순간의 상징적 장소가 된다.

 

들창은 화자가 아기의 환영을 만나고 현실로 돌아오는 경계로 기능한다. 이는 화자가 아이를 애타게 부르며, 그리움과 절망 속에서 저승과 이승의 경계를 넘나드는 장면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다. 들창을 열었다가 닫는 화자의 행위는 그가 아이를 잃은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환영 속에서라도 아이를 만나고 싶어 하는 갈망을 보여준다. 이러한 공간적 대립과 경계의 설정은 화자의 심리적 상태를 더욱 극적으로 드러내며, 시의 상징적 의미를 강화한다.

 

이러한 공간의 대립과 경계는 시의 전개와 감정의 흐름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시에서 '방 속'과 '들길'은 각각 삶과 죽음의 공간으로, 아버지와 아이가 서로 다른 세계에 있음을 상징한다. 이처럼 공간의 대립은 시적 긴장감을 높이고, 화자가 느끼는 절망과 슬픔을 더욱 극대화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결론

김광균의 <은수저>는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비통한 심정을 절제된 언어와 상징을 통해 깊이 있게 그려낸 작품이다. 시인은 은수저라는 상징적 소재를 활용해 죽음을 형상화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서사적 구성을 통해 화자의 감정을 점진적으로 전개하며, 독자에게 강렬한 감정적 울림을 전달한다. 또한, 감정의 절제와 반어적 표현, 공간의 대립과 경계 설정을 통해 슬픔과 상실의 깊이를 더욱 부각하며, 화자의 비통한 심경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이러한 문학적 기법들은 김광균의 시적 역량을 잘 보여주며, 독자에게 삶과 죽음, 사랑과 상실의 본질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촉구한다. <은수저>는 단순한 비극을 넘어, 인간의 내면적 고통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를 제시하는 걸작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