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 문학의 개념
문학은 언어를 표현의 도구로 사용하여 인간의 삶과 사회를 탐구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형상화하는 예술의 한 영역이다. 문학은 현실을 기반으로 하면서 동시에 허구를 예술로 승화시킨다는 점에서 '있을 수 있는 허구'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즉, 문학은 단순한 정보 전달의 수단이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경험을 미적으로 형상화하여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나아가 삶과 사회에 실효성 있는 영향을 미치려는 예술적 노력을 의미한다. 문학을 '문예'라고 지칭하기도 하는데, 문예학은 문학을 학문적으로 탐구하는 분야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즉, 문예학은 음악사학이나 미술사학과 함께 예술학의 핵심 분야로서, 인문학을 구성하는 하위 범주에 속한다. 문예학은 문학 작품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문학을 객관화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의 분류
문학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며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시도되어 왔다.
1. 전달 수단에 따른 분류
- 구전문학 : 구비문학이라고도 한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문학이라는 뜻으로, 글이 발생하기 전에 말이 생겼다는 점에서 문학의 본류라고 할 수 있다. 고대의 구술 전통에서 발전한 문학 형식으로,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우리나라의 '아기장수설화', '판소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기록문학 : 문서로 기록된 문학을 의미한다. 넓게는 문자가 발생한 이후 글로 쓰인 기록을 모두 포괄하고, 좁게는 근대 문명이 발생한 이후 문학적 가치를 평가받는 기록을 이에 포함시킨다.
2. 문체에 따른 분류
- 율문 : 정형화된 문체를 사용해 일정한 글의 구조와 운율을 가준 문학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국의 고전 시가 '시경', 우리나라의 고려 속요, 경기체가, 시조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산문 : 자유로운 문체를 사용해 특별한 형식적 제약이 없이 구성된 문학을 지칭한다.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은 복잡한 서사구조를 가진 산문 문체의 좋은 예이다.
3. 내용에 따른 분류
- 서정문학 : 개인의 경험에서 비롯된 정서와 감정을 표현한 문학을 지칭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나 우리나라 김소월의 '진달래꽃',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과 같은 서정시가 이에 해당한다.
- 서사문학 : 이야기를 중심으로 쓰여진 문학으로 희곡과 소설이 대표적인 갈래이다. 번역 작품으로는 마누엘 푸익의 '거미여인의 키스'가 있고, 우리나라 작품으로는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들 수 있다.
- 극문학 : 무대공연을 목적으로 쓰여진 희곡을 지칭하는데, 드라마와 영화 등의 대본도 포함한다. 번역 작품으로는 셰익스피어의 '햄릿'이 있고, 우리나라 작품으로는 오영진의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와 같은 작품을 예로 들 수 있다.
- 자조문학 : 일기, 수필, 시론, 비평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는 '수필'의 영역 안에 나머지 갈래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법정 스님의 '무소유', 장영희의 '내 생애 단 한번'과 같은 작품집이 있다.
4. 문학 활동에 따른 분류
- 창작 : 작가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는 문학 창작 활동을 지칭한다. 수필이나 자서전과 같은 자조문학을 제외한 문학작품은 현실을 기반으로 한 허구에 속하는데, J.K. 롤링의 <해리 포터> 시리즈와 같이 작품군은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창작문학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 평론 : 문학작품의 가치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활동을 지칭한다. 에드먼드 윌슨의 <문학의 가치>, 신형철의 <문학의 에티카>와 같은 문학평론이 이에 해당한다.
문학의 역할
문학은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인간 존재의 깊은 내면을 탐구하고, 사회적 및 개인적 경험을 형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정신적 및 정서적 치유의 역할 - 문학은 독자들이 작품에 감정적으로 공감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정서적 치유를 돕는 역할을 한다. 즉, 작가가 특정한 감정이나 경험을 언어화한 작품을 통해 독자는 자신의 경험을 객관화해 스스로를 이해하고, 감정적 반응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엘프리데 예리 네크의 <프라다의 마지막 소녀>는 전후의 트라우마를 문학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독자들에게 심리적 위안을 제공한다.
2. 사회적 비판과 변화의 역할 - 문학은 사회적 불평등이나 부조리를 비판하고, 사회적 변화를 촉진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찰스 디킨즈의 <올리버 트위스트>는 빈곤과 아동 착취 문제를 제재로 삼아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운 작품이다. 최서해의 <탈출기>는 일제강점기, 일제의 탄압을 피해 간도로 이주한 조선인이 직면한 극도의 빈궁을 제재로 삼아 당시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한 작품이다. 이렇게 문학 작품은 사회적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독자의 행동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실효성 있는 역할을 한다.
3. 문화적 이해화 소통의 역할 - 문학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폭넓은 독자에게 다양한 문화와 전통을 간접경험하게 하고 이해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시대와 지역의 작품을 통해 독자는 이질적인 문화와 가치관, 신념, 생활방식을 접하게 된다. 예를 들어,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은 전 세계의전 세계의 독자들에게 일본 현대 사회의 모습을 간접경험하게 함으로써 일본 문화에 대해 이해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한강의 <소년이 온다>는 전 세계의 독자들에게 5.18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인 사건을 동호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간접경험하게 함으로써 한국의 군부독재 역사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한다.
4.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의 역할 - 문학은 인간 존재의 본질과 인간 경험의 복합성을 탐구한다. 문학작품은 인간의 심리, 도덕적 갈등, 존재의 의미 등을 탐구하며, 독자들에게 자신과 세상에 대한 깊은 성찰을 유도한다. 조지오웰의 <1984>는 권력과 자유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제기하여 독자들에게 사상적 고민을 하도록 유도한다.
5. 언어와 상상력 확장의 역할 - 문학은 언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독자의 상상력을 확장한다. 작가는 독창적인 언어와 글의 형식을 통해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각과 사고방식을 제시하고, 언어의 미학을 탐구한다.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는 언어의 실험적 사용을 통해 문학적 상상력의 한계를 확장한다. 황정은의 <백의 그림자>는 그림자라는 상징적 소재를 통해 서사를 이끌어가는데, 운율감이 느껴지는 독특한 문체를 사용하여 독자를 환상성과 현실이 교차하는 문학의 세계로 이끈다.
결론
문학은 이처럼 감정적 치유, 사회적 비판, 문화적 이해, 인간 존재 탐구, 언어와 상상력의 확장 등 다양한 방면에서 독특하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문학을 통해 독자는 경험의 깊이를 확장하고 사회적 및 개인적 삶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문학은 단순한 창작 활동을 넘어서 인간의 본질과 세계를 탐구하는 중요한 매체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