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박정만 시인, <한해살이풀> - 짧고 고통스러운 인생의 상징

by soulbooks 2024. 10. 4.

 

 

 

서론

박정만 시인의 <한해살이풀>은 한해살이풀이라는 식물의 짧고 유한한 생애를 통해 인생의 고통과 허무함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한해살이풀은 일 년을 채 넘기지 못하고 피고 시드는 생물로, 그 유한함과 고단한 삶이 인간의 인생과 비유된다. 시적 화자는 하루 동안의 긴 여정을 통해 한해살이풀처럼 유한한 인생 속에서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삶의 의미와 허무를 성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한해살이풀>이 담고 있는 상징적 의미와 문학적 기법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1) 한해살이풀: 유한한 인생의 상징

 

시에서 가장 중요한 상징적 존재는 '한해살이풀'이다. 한해살이풀은 일 년 내에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운 후 열매를 맺고 시들어 버리는 식물로, 짧고 유한한 인간의 인생을 상징한다. 시적 화자는 한해살이풀의 생애를 통해 자신의 삶을 비추며, 짧고 고단한 인간의 생애를 자연 속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패랭이꽃 눈뜨는 아침부터 / 산 메아리 잠드는 저물녘까지”라는 표현은 하루의 시작부터 끝까지 한해살이풀이 겪는 시간을 묘사하며, 이는 곧 인간의 생애 전체를 압축한 상징으로 읽힌다. 한해살이풀의 짧은 생애는 인간의 유한함을 대변하며, 그 유한성 속에서 겪는 고통을 '패랭이꽃'과 같은 구체적 이미지로 시각화한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삶의 한계와 그 안에서의 무력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한 생을 하루해에 던져 놓은 채"라는 구절은 한해살이풀의 짧은 생애가 인간의 삶처럼 허무하고 순간적임을 강조한다. 화자는 이 구절을 통해 짧은 시간 동안의 고통스러운 삶을 마치 던져진 채 방치된 것처럼 느끼고 있으며, 이로써 인생의 유한함과 그 안에서의 절망을 극대화한다.

 

2) 앉은뱅이 시늉과 오뉴월 소금 맛: 고통과 즐거움의 상실

 

시적 화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앉은뱅이 시늉'이라는 표현은 병들고 힘을 잃은 인간의 상태를 상징한다. 화자는 자신의 삶을 앉은뱅이 시늉으로 묘사하며, 그 속에서 아무런 힘도 없이 고통 속을 걸어가는 자신의 무기력을 드러낸다. 이는 병약한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상태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화자의 내면적 고통을 구체화한다.

 

"오뉴월 소금 맛도 잃어버린 채"라는 구절은 삶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적 즐거움마저 잃어버린 화자의 상태를 묘사한다. 오뉴월의 소금은 여름의 더위 속에서 맛보는 짠맛으로, 이는 생명의 활력을 상징하는데, 그 맛을 잃어버렸다는 것은 인생의 즐거움과 활력을 잃고 고통에만 시달리는 삶을 뜻한다. 화자는 생의 감각적인 즐거움도 느끼지 못한 채 무력하게 살아가며, 이러한 상실감은 시의 주제를 더욱 심화한다.

 

이 두 상징적 표현은 화자의 고통과 절망을 더욱 강조하며, 인간이 느끼는 고통이 단순한 육체적 고통을 넘어 정신적, 감각적 상실로 이어진다는 점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이를 통해 시적 화자는 삶의 무상함과 고통스러운 현실을 더욱 극적으로 전달한다.

 

3) 밑도 끝도 없는 당신: 구원의 부재

 

화자는 "밑도 없고 끝도 없는 당신을 찾아"라는 표현에서 고통 속에서 구원을 찾고자 하는 화자의 절박한 심정을 드러낸다. 여기서 '당신'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지만, 화자를 구원해 줄 막연한 존재로 해석된다. 이는 삶 속에서 느끼는 고통과 허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상이 필요하지만, 그 대상이 실존하지 않거나 찾을 수 없다는 무력감을 반영한다.

 

'밑도 끝도 없는'이라는 형용어는 화자가 갈망하는 구원자의 막연함과, 그 존재에 대한 불확실성을 표현한다. 화자는 하루 종일 이 구원자를 찾아 헤매지만, 끝내 찾지 못한 채 앉은뱅이 시늉으로 걸을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인다. 이는 인간이 고통 속에서 구원을 찾고자 하지만, 그 구원이 결코 쉽게 찾아지지 않는다는 점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화자는 이 과정을 통해 인생이 본질적으로 고통스러우며, 그 속에서 구원받을 수 없는 무력한 존재임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당신'이라는 존재는 구원의 부재와 그로 인한 절망을 상징하며, 시적 화자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킨다.

 

결론

박정만의 <한해살이풀>은 한해살이풀이라는 짧고 유한한 생명을 통해 인간의 인생을 상징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한해살이풀의 고단한 삶은 짧고 허무한 인간의 삶을 대변하며, 그 속에서 화자는 고통과 상실을 느낀다. '앉은뱅이 시늉'과 '오뉴월 소금 맛'과 같은 상징적 표현들은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무기력함과 즐거움의 상실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당신'이라는 막연한 구원자를 통해 구원의 부재와 그로 인한 절망을 강조한다. 이 시는 인간의 유한한 삶 속에서 느끼는 고통과 허무를 깊이 성찰하며, 삶의 본질적 무상함을 독자들에게 환기시킨다. <한해살이풀>은 단순히 고통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 그 속에서 구원을 찾고자 하는 인간의 절박함을 상징적으로 담아낸 작품으로, 인생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불러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