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양희의 <작은 부엌 노래> : 가부장적 억압에서 벗어난 여성의 정체성 추구

by soulbooks 2024. 8. 19.

 

서론

 

천양희 시인의 <작은 부엌 노래>는 부엌이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억압과 고통을 생생하게 묘사한 작품입니다. 이 시는 여성이 부엌에서 겪는 일상을 형상화하는 것을 넘어, 가부장적 결혼 제도와 사회적 억압에서 벗어나려는 여성의 의지와 정체성 탐구라는 주제를 제시합니다. 시적 화자는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해 억압적인 현실을 구체화하고, 부엌이라는 공간을 상징적 의미로 확장시켜 여성의 고통과 그로부터의 해방을 표현합니다. 이 글에서는 <작은 부엌 노래>가 어떻게 시적 공간과 이미지를 통해 가부장적 억압을 비판하고, 여성이 주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문학적 기법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1. 부엌 속 여성의 억압된 현실을 드러내는 감각적 이미지

천양희의 <작은 부엌 노래>는 부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리와 냄새를 통해 여성이 겪는 억압적 현실을 구체적으로 드러냅니다. 부엌에서 나는 "술 괴는 냄새"는 한 여자의 젊음이 삭아가는 냄새로, 여성의 시간을 허비하게 만드는 가부장적 노동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냄새는 후각적 심상을 통해 여성의 삶이 어떻게 소모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가사 노동에 매몰된 여성의 삶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한 여자의 설움이 찌개를 끓이고, 한 여자의 애모가 간을 맞추는 냄새"라는 구절은 여성이 단순한 가사 노동자로 전락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며, 그 속에 담긴 한스러움과 억눌린 감정을 표현합니다.

 

청각적 심상도 이 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삭바삭 무언가 타는 소리"는 억눌린 여성의 분노와 고통을 상징하며, 이러한 소리들은 단순히 요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아니라, 여성이 느끼는 내적 고통과 분노를 표현하는 장치로 작용합니다. 이어지는 "마고할멈의 도마 소리"와 "새악시의 허물 벗는 소리"는 여성의 변화를 예고하며, 가부장적 억압에서 벗어나 새로운 존재로 태어나는 과정을 암시합니다. 이처럼 천양희 시인은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해 여성의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부엌이라는 일상적인 공간을 억압의 상징으로 재해석합니다.

2. 공간의 대조를 통한 가부장적 현실 비판

<작은 부엌 노래>에서 시적 화자는 부엌과 큰방이라는 공간의 대조를 통해 가부장적 현실을 비판합니다. 부엌은 여성이 가사 노동에 매몰되는 공간으로, 여성의 희생이 강요되는 장소입니다. 반면에, 남성은 큰방에서 "큰소리"를 치며 권위를 행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대조적인 공간 배치는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이 처한 차별적 현실을 선명하게 드러냅니다. 부엌은 여성의 고통과 희생의 공간인 반면, 큰방은 남성의 권위와 안락함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대조됩니다. 이렇게 시인은 물리적 공간을 사용해 여성과 남성의 사회적 지위를 차별화한 우리 사회의 문제를 수면 위로 드러냅니다.

 

시적 화자는 이러한 공간적 대조를 통해 남녀의 불평등한 관계를 비판하며, "한 사람은 큰방에서 큰소리 치고, 한 사람은 부엌에 서서 뜨거운 촛농을 제 발등에 붓는다"라는 구절을 통해 남성과 여성이 동일한 "한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여성은 억압받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시적 화자는 이러한 대조적 공간 배치를 통해 남성과 여성이 평등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여전히 불평등한 관계가 지속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바라봅니다. 이는 가부장적 사회의 모순을 폭로하고, 여성의 정체성 찾기와 주체적 삶을 위한 변화를 촉구하는 시인의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3. 신화적 상상력을 통한 변화의 가능성 제시

천양희 시인은 <작은 부엌 노래>에서 신화적 상상력을 활용해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시적 화자는 "마고할멈의 도마 소리"를 통해 억압받는 여성의 새로움을 예고합니다. "마고할멈"은 한국 전통 신화에서 여성의 출산을 도와주는 신으로, 이 시에서는 여성의 새로운 탄생과 변화를 상징하는 존재로 등장합니다. 이러한 신화적 이미지는 가부장적 억압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여성의 의지를 강화하며, 그 변화를 통해 여성의 주체적 삶이 가능해질 것임을 암시합니다.

 

특히, "새악시가 홀로 허물 벗는 소리"는 여성의 주체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구절로, "새악시"라는 순수한 이미지와 "허물 벗기"라는 변화의 과정을 결합시켜 여성의 자아 찾기와 자기 정체성의 재발견을 상징합니다. 이는 단순히 남성의 권위에 종속된 존재로서의 여성이 아니라,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를 지닌 주체적 인간으로서의 여성상을 제시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적 화자는 자신의 부엌을 "우리 부엌"으로 확장시키며, 여성들의 주체적인 삶을 강조하고, 그들이 함께 변화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마고할멈의 신화적 이미지는 단순히 전통적 여성성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시적 화자는 이 신화적 요소를 통해 억압적 현실을 극복하고, 여성이 주체적인 삶을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희망을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작은 부엌 노래>는 단순히 억압적 현실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 여성의 가능성과 주체적 삶의 길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발전합니다.

 

결론

천양희의 <작은 부엌 노래>는 전통적으로 여성의 공간으로 인식되어 온 '부엌'을 중심소재로 사용해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억압과 고통을 형상화한 작품입니다. 시적 화자는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여성의 고통을 구체화하고, 부엌과 큰방이라는 공간적 대조를 통해 남녀 간의 불평등한 현실을 비판합니다. 또한, 신화적 상상력을 통해 여성이 새로운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찾고 변화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억압적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이 시는 단순한 현실 비판을 넘어서, 여성의 자아 찾기와 주체적 삶을 위한 변화를 강조하며,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강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천양희 시인의 <작은 부엌 노래>는 가부장적 사회 속에서 여성이 겪는 억압을 생생하게 드러내면서도, 그 속에서 주체적인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여성의 의지를 문학적 기법을 통해 탁월하게 형상화한 작품으로,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이 시를 통해 우리는 여성의 삶이 어떻게 억압받아왔고, 그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어떤 변화를 추구해야 하는지를 깊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천양희 시인의 <작은 부엌 노래>는 여성의 주체성을 찾기 위한 여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그것이 바로 우리 사회에서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역할의 중요한 부분임을 다시금 깨닫게 해 줍니다.